본문 바로가기

구글3

요동치는 검색 시장 순위 : 포털 시장에서 '구글·빙'이 '다음' 뛰어 넘은 이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검색 포털이라고 한다면, 역시 네이버와 다음입니다. 그런데 최근, 구글과 빙이 파워를 키워가고 있는데요. 특히 다음이 이들에게 밀려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오늘은 구글과 빙이 다음을 밀어내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네이버 1위, 2등은 '다음' 아니라 '구글' 이달 9일 기준 국내 웹 검색 포털 1위는 '네이버'입니다. 54.73%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2등은 '구글'입니다. 37.2% 점유율을 기록했어요. 3위는 '빙'으로 3.6%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은 4위입니다. 3.33%로 빙에 근소하게 밀렸습니다. 다음이 4위로 내려앉은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물론 구글이 전 세계 검색시장 9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토종 포털이 국내 시장에서는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 2024. 8. 12.
대세는 '작은 AI'...SLM이란? 인공지능의 발전에 힘입어 LLM(거대언어모델) 개발이 활발해졌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어요. 환각(Hallucination) 현상이 너무 심하고, 데이터 학습에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갔습니다. LLM 크기가 커짐에 따라 메모리 용량도 같이 커져야 하는 이슈도 생겼습니다. 이에, 더 작고 똑똑한 인공지능의 등장이 필요해졌습니다. 바로 SLM(소형언어모델)입니다. 오늘은 SLM이 무엇인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SLM이란? 앞서 설명했듯이 LLM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야 하고, 사용에 있어서도 대규모 컴퓨팅 자원이 필요합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자, 더 작은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면서도 여전히 똑똑한 '작은 AI'가 필요해졌어요. SLM은 말 그대로 Small Language Mo.. 2024. 8. 9.
셔먼법이 뭐길래? 美 연방법원의 '구글 독점' 판결 정리 구글은 명실상부 검색시장의 황제입니다. 이미 전 세계 온라인 검색시장의 90%, 스마트폰 검색시장의 95%를 차지하고 있죠. 그런데 이런 시장 구도에 균열이 생길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구글이 미국 법무부가 제기한 '반독점 소송'에서 패소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구글이 위반했다는 '셔먼법'이 무엇인지, 앞으로 검색시장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구글 반독점 소송 근황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연방법원은 '구글이 독점기업이며, 구글은 그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불법행위를 해왔다'고 판결했습니다. 구글은 스마트폰 웹 브라운저에서 자사 검색엔진을 디폴트로 설정하기 위해 애플과 삼성전자 등에 260억 달러(약 36조원)를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연방법원은 이 행위가 경쟁을 .. 202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