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전자3

해커가 우리 집을 들여다본다, '로봇청소기'로...중국산 로봇청소기 보안 이슈 3대 가전이라고 불리는 것들이 있습니다. 식기세척기, 건조기, 그리고 로봇청소기죠. 국내 올인원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는 지난해 4000억원대 규모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가성비가 좋은 중국산 로봇청소기를 이용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카메라가 달린 로봇청소기 특성 상, 해킹이 되면 이용자를 감시하는 카메라가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로봇청소기의 보안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로봇청소기 보안 로봇청소기는 카메라를 통해 집안 내부를 촬영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로봇청소기 제조사나 서비스 제공업체가 수집한 데이터가 유출될 경우, 개인정보가 악용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실제로 2020년에는 미국 로봇청소기 업체 아이로봇의 '룸바' .. 2024. 8. 14.
갤럭시·아이폰 AI 기능 '유료화' 예정 AI 열풍이 불면서 스마트폰에도 더 똑똑한 인공지능이 탑재되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와 애플 아이폰 모두 AI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데, 안타깝지만 이들은 향후 유료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성, 2026년 갤럭시 AI 유료화 전망 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시리즈에서 최초로 '온디바이스 AI'를 선보였습니다. 실시간 통역/번역, 그림 생성 등 기능을 제공하면서 눈길을 끌었었죠. 하지만 출시 당시부터 향후 AI가 유료화될 여지를 남기면서 여러 설왕설래가 있었습니다. S24 제품 설명에는 '갤럭시 AI 기능이 2025년까지 무료로 제공된다'는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즉 2026년부터는 유료화가 진행될 수 있다는 거죠. 삼성은 아직 유료화에 대해 명확한 입장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다만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 최신.. 2024. 8. 12.
셔먼법이 뭐길래? 美 연방법원의 '구글 독점' 판결 정리 구글은 명실상부 검색시장의 황제입니다. 이미 전 세계 온라인 검색시장의 90%, 스마트폰 검색시장의 95%를 차지하고 있죠. 그런데 이런 시장 구도에 균열이 생길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구글이 미국 법무부가 제기한 '반독점 소송'에서 패소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구글이 위반했다는 '셔먼법'이 무엇인지, 앞으로 검색시장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구글 반독점 소송 근황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연방법원은 '구글이 독점기업이며, 구글은 그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불법행위를 해왔다'고 판결했습니다. 구글은 스마트폰 웹 브라운저에서 자사 검색엔진을 디폴트로 설정하기 위해 애플과 삼성전자 등에 260억 달러(약 36조원)를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연방법원은 이 행위가 경쟁을 .. 202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