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2

해커가 우리 집을 들여다본다, '로봇청소기'로...중국산 로봇청소기 보안 이슈 3대 가전이라고 불리는 것들이 있습니다. 식기세척기, 건조기, 그리고 로봇청소기죠. 국내 올인원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는 지난해 4000억원대 규모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가성비가 좋은 중국산 로봇청소기를 이용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카메라가 달린 로봇청소기 특성 상, 해킹이 되면 이용자를 감시하는 카메라가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로봇청소기의 보안에 관한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로봇청소기 보안 로봇청소기는 카메라를 통해 집안 내부를 촬영하고, 이를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로봇청소기 제조사나 서비스 제공업체가 수집한 데이터가 유출될 경우, 개인정보가 악용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실제로 2020년에는 미국 로봇청소기 업체 아이로봇의 '룸바' .. 2024. 8. 14.
악명높은 북한의 해커조직 - 김수키, 라자루스, 안다리엘 알아보기 북한 해커조직에 의한 피해가 전방위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산 협력업체,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등 여러 분야에서 공격을 일삼고 있는데요. 오늘은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북한의 대표적인 해커 조직 3개를 정리해봤습니다.북한의 해킹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와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정상적인 외화벌이에 나서지 못하게 되자, 최근 몇 년간 사이버 공격을 통해 그 자금을 충당해왔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해킹과 사이버 공격을 통해 탈취한 자금으로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개발 재원의 40%를 벌어들였다고 하니, 그 규모가 얼마나 큰지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7~2023년 북한이 가상자산 기업 상대로 약 4조원을 탈취한 것으로도 분석했습니다. .. 2024.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