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5

요동치는 검색 시장 순위 : 포털 시장에서 '구글·빙'이 '다음' 뛰어 넘은 이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검색 포털이라고 한다면, 역시 네이버와 다음입니다. 그런데 최근, 구글과 빙이 파워를 키워가고 있는데요. 특히 다음이 이들에게 밀려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오늘은 구글과 빙이 다음을 밀어내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네이버 1위, 2등은 '다음' 아니라 '구글' 이달 9일 기준 국내 웹 검색 포털 1위는 '네이버'입니다. 54.73%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2등은 '구글'입니다. 37.2% 점유율을 기록했어요. 3위는 '빙'으로 3.6%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은 4위입니다. 3.33%로 빙에 근소하게 밀렸습니다. 다음이 4위로 내려앉은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물론 구글이 전 세계 검색시장 90%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토종 포털이 국내 시장에서는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 2024. 8. 12.
갤럭시·아이폰 AI 기능 '유료화' 예정 AI 열풍이 불면서 스마트폰에도 더 똑똑한 인공지능이 탑재되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와 애플 아이폰 모두 AI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데, 안타깝지만 이들은 향후 유료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성, 2026년 갤럭시 AI 유료화 전망 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시리즈에서 최초로 '온디바이스 AI'를 선보였습니다. 실시간 통역/번역, 그림 생성 등 기능을 제공하면서 눈길을 끌었었죠. 하지만 출시 당시부터 향후 AI가 유료화될 여지를 남기면서 여러 설왕설래가 있었습니다. S24 제품 설명에는 '갤럭시 AI 기능이 2025년까지 무료로 제공된다'는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즉 2026년부터는 유료화가 진행될 수 있다는 거죠. 삼성은 아직 유료화에 대해 명확한 입장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다만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 최신.. 2024. 8. 12.
대세는 '작은 AI'...SLM이란? 인공지능의 발전에 힘입어 LLM(거대언어모델) 개발이 활발해졌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어요. 환각(Hallucination) 현상이 너무 심하고, 데이터 학습에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갔습니다. LLM 크기가 커짐에 따라 메모리 용량도 같이 커져야 하는 이슈도 생겼습니다. 이에, 더 작고 똑똑한 인공지능의 등장이 필요해졌습니다. 바로 SLM(소형언어모델)입니다. 오늘은 SLM이 무엇인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SLM이란? 앞서 설명했듯이 LLM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야 하고, 사용에 있어서도 대규모 컴퓨팅 자원이 필요합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자, 더 작은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면서도 여전히 똑똑한 '작은 AI'가 필요해졌어요. SLM은 말 그대로 Small Language Mo.. 2024. 8. 9.
네이버가 강조하는 '소버린 AI' 란? 빅테크의 AI 경쟁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이들과 AI 경쟁에 나설만한 IT기업이 있다고 한다면, 역시 네이버가 대표적이겠습니다. 이런 네이버가 최근 강조하고 있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소버린 AI'죠. 네이버는 AI 경쟁력이 국가 안보를 좌우하는 가운데, 소버린 AI가 꼭 필요하며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연일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체 '소버린 AI'가 뭘까요?소버린 AI란?소버린 AI(Sovereign AI)는 국가 또는 조직이 자국의 이익과 주권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하고 운영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러한 AI 시스템은 특정 국가의 정책, 규제, 그리고 사회적 가치에 부합하도록 설계되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독립적인 운영을 목표로 합니다. 네이버는 "각 국.. 2024. 8. 5.
스물스물 피어오르는 'AI 버블론', 인공지능은 정말 거품일까? 최근 미국 나스닥 등 기술주들이 급락하고 있습니다. AI 버블이 터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오픈AI를 비롯한 인공지능 기업들이 돌풍을 일으켰고, 빅테크들도 AI가 세상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막대한 투자를 쏟아부었습니다. 하지만 AI 수익화가 시장의 기대보다 더디고, AI를 작동시키는 것에도 큰 비용이 소요된다는 사실이 점차 알려지면서 회의론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AI 버블론'에 대한 목소리들, 그리고 그 반대의 목소리들도 정리해 보겠습니다.AI 버블론: 지출이 너무 크다!AI버블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우려는, 기업의 AI 관련 투자가 수요 대비 과도하다는 것입니다. 데이터센터 구축, 데이터 학습 등에 쏟아붓는 돈은 큰데, 매출 증가세가 이.. 2024. 8. 2.